호거산 운문사
1987년 수덕사 견성암에서 수연스님을 은사로 득도
1987년 수덕사에서 원담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1993년 『수필공원』 ‘흙길 향수’,‘목리를 아는 인생들’ 추천완료, 한국수필문학진흥회 등단
1993년 『수필공원』 ‘흙길 향수’,‘목리를 아는 인생들’ 추천완료, 한국수필문학진흥회 등단
1994년 범어사에서 일타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1995년 운문사승가대학 대교과 졸업
1997년 운문사승가대학 수의과 졸업
1997년 운문사승가대학 중강 취임
1999~2002년 운문사한문불전승가대학원 연구과정 졸업
2003년 운문사승가대학 명성講伯으로부터 전강
2005~2006년 운문사 교무 역임
2008년 동국대 대학원 선학과 석사 졸업
2007년 수덕사 견성암 동안거 성만
2013년 동국대대학원 불교학과 박사과정 수료
2018~2023년 운문사승가대학 학감 역임
2022~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승가고시위원
2023~현재 운문사승가대학장
2024년 조계종 단일계단구족계 수계산림 니교수사
2007년 「祖堂集 연구」
2010년 精選 戒律, 太賢 『梵網經古迹記』번역, 조계종간행 한국전통사상서
2015년 北齊 道紀『金藏要集經』번역, 문화재청수탁, 동국대불교학술원 불교관련사업
2015년 雲門寺板 緇門警訓 연구
2021년 「화랑정신의 시대적 의미에 대한 고찰」, 동아시아불교문화 제45집
2025년 「불전에 나타난 師弟倫理를 통해 본 이상적 敎師像 고찰」, 동아시아불교문화 제67집
1991년 운문사에서 명성스님을 은사로 득도
1992년 통도사에서 청하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1996년 통도사에서 청하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1997년 운문사승가대학 제33회 졸업
1999년 운문사승가대학원 수의과 졸업
1999년 운문사승가대학 중강 취임
2002년 운문승가 대학원 전문과정 졸업
2003년 운문사승가대학 명성講伯으로부터 전강
2007년 경주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 석사 졸업
2010년 경주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 박사 수료
2009~2012년 운문사 승가대학 교무 역임
2012년 동화사 부도암 동안거 성만
2013~2023년 운문사승가대학 정교수
2023~2024년 운문사승가대학 교무 역임
2023~2024년 운문사승가대학 학감 역임
2024년~ 운문사 주지
2006년 「붓다시대의 사상과 부처님 생애」
2007년 「구사론 이야기」
2008년 「서장에 나타난 대혜의 교화 방법」
2008년 「전통사찰문화의 현대적 가치-운문사를 중심으로」
2016년 「유마경 이야기」
2017년 「능엄경 이야기」
1972년 해인사 삼선암 敬道스님을 은사로 득도
1980년 법주사에서 혜정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1987년 운문사승가대학 대교과 졸업
1987년 범어사에서 자운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1985년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졸업
1987년 운문사승가대학 23회 대교과 졸업
1998년 미국, 뉴저지, 몽클레어 주립대학 종교학과 졸업
2001년 미국, 캘리포니아, 웨스트 대학원 불교학과 수료
2001~2004년 UN/DPI에서 NGO위원으로 활동
2007년 운문사승가대학원 수의과 졸업
2007년 운문사승가대학 명성講伯으로부터 전강
2012~2014년 운문사승가대학 정교수
2012~2014년 운문사승가대학 교무 역임
2017~2018년 운문사승가대학 교무 역임
1985년 「고려 말 조선초기의 불교」
2007년 「전계사 비구니 장로 정행스님의 삶」
2000년 『Abortion in Buddhism』
2010년 「한국 비구니 승가의 역사와 활동」
1992년 부산 원각사에서 慧光스님을 은사로 득도
1993년 통도사에서 청하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1998년 통도사에서 청하스님을 비구니계 수지
1998년 운문사 승가대학 대교과 졸업
1998~1999년 석남사·내원사 등 4안거 성만
2003년 성균관 대학교 한문학과 졸업
2005년 민족문화 추진회 고전번역원 졸업
2005년 성균관 대학교 한문학과 석사졸업
2006~2007년 중국 남경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방문학자
2009년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석사졸업
2010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박사학위 취득
2011년 운문사 보현율원 제2회 졸업
2011년 운문사 승가대학 중강취임
2011~2023년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아사리
2014년 운문사승가대학 명성講伯으로부터 전강
2021~2023년 대한불교 조계종 교육교재편찬추진위원회 위원
2024~현재 운문사승가대학감
2005년 「虛應堂 普雨의 詩」
2008년 「兒菴惠藏에 대한 硏究」
2010년 「涵月海源의 思想과 二種禪에 대한 考究」, 선학 제26호
2011년 「朝鮮朝 18세기 禪詩硏究」,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2013년 「無用秀演의 禪詩 연구」, 선학 제34호
2011년 「月渚道安의 선시 연구」, 한국선학회
2015년 「正觀一禪의 선시 연구」, 선학 제42호
2013년 「靑梅印悟의 禪詩 연구」, 동악어문학
2014년 「鞭羊彦機의 禪詩 연구」, 선학 제38호
2018년 「四溟惟政의 禪詩 硏究」, 선학 제50호
2019년 「청허휴정(淸虛休靜) 선시(禪詩) 연구」, 선학 제54호
2022년 「通度寺 喚醒志安의 禪詩 연구」, 선학 제63호
2022년 「광우의 수행관과 비구니 승가」,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년 「운문구곡가(雲門九曲歌)연구」,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2025년 「화랑오계와 법계명성의 계율사상」, 선학 제70호
1982년 해인사 삼선암에서 일수스님을 은사로 득도
1982년 범어사에서 자은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1988년 운문사승가대학 대교과 졸업
1988년 범어사에서 자은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1988년 삼선암에서 동안거 성만
1988년 중국어언문화대학교 문학학사 취득
1998~1999년 중국 사회 과학원에서 중국 역사, 중국 선종, 화엄학 수학
2003년 중국 북경대학원 석사 학위 취득
2011년 중국 북경대학원 박사 학위 취득
2013~2017년 서울 조계사, 길상사 불교대학에서 강의
2015~2020년 서울 동국대학교 강사
2016년 경주 동국대학교 강사
2014~2020 (현)교육아사리 부회장
2017~2019 전국비구니회 총무부장
2020~현재 운문사승가대학 부교수
2023년 운문사승가대학 명성講伯으로부터 전강
2011년 (宗鏡錄)의 禪敎一致 사상 고찰(중국), 오대산연구
2011년 한국조계종 비구니 교육현황(중국), 법음
2015년 (종경록)집성의 시대적 가치, (서울대철학사상연구)철학사상
2015년 (종경록)의 眞心과 諸사상 수용 관계 분석적 고찰, 정토학 연구
2017년 대해종고 禪用語에 관한 분석적 고찰, 동아시아불교문화
2019년 淸末 楊仁山의 불학사상-사상적 형성과 발전과정에 나타난 시대정신을 중심으로, 한국선학
2020년 다라니기도 및 수행의 실용적 가치—일상생활을 중심으로, 종학연구소
2020년 『大乘起信論』을 통해본 佛性論의 意義(중국)—선종에 미친 불성론을 중심으로, 山東大學猶太教與跨宗教研究中心
2016년 [선종의 자성미타와 유심정토—송대이후 선종을 중심으로]
2018년 [大慧宗杲의 禪用語에 관한 分析的考察]
表詮(卽心是佛)、遮詮(不是心不是佛不是物)、圓融(調和:無心)을 중심으로
2017년 대화식 교육방법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제안
2017년 한국불교학의 경향과 과제
2018년 교육아사리의 역할과 방향에 대한 제안
1. 현견스님의 다시 생각하는 禪문화, 불교신문(연재), 2013년 01월-2014년 12월
2. 현견 스님의 중국 선문화기행Ⅰ현대불교(연재), 2018년01월-12월
3. 현견 스님의 중국 선문화기행Ⅱ현대불교(연재). 2020년,10월-현재
1984년 양산 내원사에서 지효스님을 은사로 득도
1984년 해인사에서 자운화상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1989년 범어사에서 자운화상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1990년 운문사승가대학 대교과 졸업
1990~1993년 석남사, 동화사 내원암, 삼선암, 대성암, 보현암등 6안거 성만
1993~1997년 중앙승가대학교 불전국역원 연수•연구과정 졸업
1994~1998년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과 졸업
1998~2002년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석사 졸업
1998~2000년 중앙승가대학교 불전국역연구원 간사
2005년 중국 남경 사범대학교 어학연수
2008~2011년 제9대 전국비구니회 기획국장 역임
2012년 제10대 전국비구니회장 사서 역임
2013년 제10대 전국비구니회 재무부장 역임
2014~2017년 대한불교조계종 운문사 재무 역임
2017년 운문사승가대학 중강 취임
1999~현재 약수암 주지
2021년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박사학위 취득
2023년 운문사승가대학 명성講伯으로부터 전강
2023~현재 운문사승가대학 부교수
2003년 「佛身論 硏究」
2008년 「初期大乘經典에 나타난 佛身說」
2021년 「楞嚴經 修行體系 硏究-識心見性을 中心으로-」
1997년 共譯 『화엄경현담 1』
2000년 共譯 『화엄경현담 2』
1998년 고성 원각사에서 민제스님을 은사로 득도
1999년 직지사에서 녹원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2004년 운문사승가대학 대교과 졸업
2004년 통도사에서 보성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2004~2014년 해인사 석남사 내원사 등 17안거 성만
2017년 운문사한문불전대학원 졸업
2017~2018년 운문사편집국장 및 『 雲門寺誌 』 간행위원회 간사 역임
2018~2023년 운문사승가대학 중강 역임
2021년 동국대학교 한문불전번역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수료
2023년 운문사승가대학 명성講伯으로부터 전강
2023~현재 운문사승가대학 부교수
2016년 「懸吐譯註 『勝鬘經』 – 異譯本과 吉藏 「勝鬘寶窟」을 중심으로」
2025년 「길장 『승만보굴』 「섭수정법장」釋 연구 」, 동아시아불교문화 53호
2013년 해인사 약수암에서 日芸스님을 은사로 득도
2014년 직지사에서 혜운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2019년 범어사에서 성우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2019년 운문사승가대학 대교과졸업
2021년 운문사한문불전승가대학원 제10회 전문과정 졸업
2022년 영남대학교 철학과 대학원 석박사통합과정 수료
2023년 운문사승가대학 명성講伯으로부터 전강
2023~현재 운문사승가대학 조교수
2025년 운문사한문불전승가대학원 연구과정 졸업
2022년 「원효의 『涅槃宗要』 譯註」
2024년 「영명연수의 『觀心玄樞』 譯註」